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생성
- 함수
- mybatis
- 시큐리티
- error
- 오라클
- 에러
- 넥사크로
- aws
- Eclipse
- Spring
- 자바
- 쿼리
- 알고리즘
- oracle
- db
- GitHub
- kotlin
- 스프링
- Security
- IntelliJ
- 방법
- JavaScript
- Vue
- Java
- Git
- 코틀린
- JPA
- jquery
- 프로그래머스
Archives
- Today
- Total
송민준의 개발노트
윈도우 포트 킬(window port kill) 본문
우선 CMD 창을 켜야하는데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자
그리고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netstat -a -o
아래에 결과 목차이다.
그럼 예를 들어 8380 포트를 킬하고 싶다면 로컬주소에 아래와 같은 것을 찾고 PID를 확인한다.
taskkill /f /pid (pid번호)
입력해주면 끝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full API 설계 고려사항들... (0) | 2020.09.07 |
---|---|
HTTP/1.1 쿠키 헤더 필드 (0) | 2020.01.10 |
HTTP/1.1 엔티티 헤더 필드 (0) | 2019.12.30 |
HTTP/1.1 리스폰스 헤더 필드 (0) | 2019.12.23 |
HTTP/1.1 리퀘스트 헤더 필드 (0) | 2019.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