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설정 (4)
송민준의 개발노트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기존에 스프링 프로젝트에서는 properties 파일을 사용해서 설정과 관련된 내용을 저장해서 불러왔다. 스프링부트를 사용하게 되면서 yaml 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타 포맷에 비해 사람이 보기가 편한 장점이 있다. 이는 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되기도 한다. yaml의 경우 들여쓰기로 구분하고 리스트로 표현하고자 할 때는 - "대쉬" 로 표현이 가능하다. yaml 은 문법에 있어서 약간 엄격한 편인데 이 때문에 삽질을 좀 했었다. 가령아래와 같이 설정을 하는 경우가 있다면 mytest가 spring 하위로 들어가서 인식이 안된다던지.... 콜론(:) 다음에는 공백 한칸이 있어야 한다던지 그런 문제점들이 있다.(삽질로 깨달음) spring jpa: hibernate: ddl-auto: update dat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Gv1cM/btqA0M6ydOv/MFUpMpoMAKsAH3DqhF1qEK/img.png)
Junit 이란? 1. Java에서 독립된 단위테스트를 지원해주는 프레임워크이다. 2. @RunWith는 JUnit 프레임워크의 테스트 실행방법을 확장할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다. @RunWith(SpringJUnit4ClassRunner.class) - SpringJUnit4ClassRunner라는 JUnit용 테스트 컨텍스트 프레임워크 확장 클래스를 지정해 주면 JUnit이 테스트를 진행하는 중 테스트가 사용할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만들고 관리하는 작업을 해준다. 3. @ContextConfiguration(locations="/applicationContext") - 자동으로 만들어줄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설정파일의 위치를 지정할 때 사용한다. 예제 경로 pom.xml : junit이 최초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