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목록스프링부트 (2)
송민준의 개발노트
YAML
기존에 스프링 프로젝트에서는 properties 파일을 사용해서 설정과 관련된 내용을 저장해서 불러왔다. 스프링부트를 사용하게 되면서 yaml 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타 포맷에 비해 사람이 보기가 편한 장점이 있다. 이는 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되기도 한다. yaml의 경우 들여쓰기로 구분하고 리스트로 표현하고자 할 때는 - "대쉬" 로 표현이 가능하다. yaml 은 문법에 있어서 약간 엄격한 편인데 이 때문에 삽질을 좀 했었다. 가령아래와 같이 설정을 하는 경우가 있다면 mytest가 spring 하위로 들어가서 인식이 안된다던지.... 콜론(:) 다음에는 공백 한칸이 있어야 한다던지 그런 문제점들이 있다.(삽질로 깨달음) spring jpa: hibernate: ddl-auto: update data..
웹/Spring boot
2020. 7. 12. 2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