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연결 (3)
송민준의 개발노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MHrc/btqC3NXSgHg/tdSgnOrm3Bs6MWcBb8cfvK/img.png)
1. 디비 생성 2. 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릭 후 생성 중 끝날 때까지 기다리면 됨. 3. 파라미터 그룹 클릭 후 파라미터 생성 4. 파라미터 편집 클릭 5. 파라미터 각각 검색해서 설정 타임존 설정 - 아시아 서울 설정 utf8mb4 설정 utf8과 utf8mb4의 차이는 이모지 저장 가능 여부이다.(이모지는 이모티콘 같은거다) 6. 편집 저장 7. 파라미터 적용을 위해 수정 클릭 8. 파라미터 그룹 설정 9. 즉시 적용을 한다. (실 사용이면 예약된 새벽 시간대에 하는게 좋음) 10. 확실한 적용을 위해 재부팅 11. 보안 그룹 클릭 편집해서 mysql/aurora 클릭해서 각각 보안그룹과 내 IP를 추가 12. 인텔리제이로 가서 db연결 13. 각각 값 입력 Name은 맘대로, Host는 AWS RD..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X6xwP/btqBYvi9StR/XeYdxLr64OYkvSjkA0HBd1/img.png)
우선 Git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래저래 만지다 보니 커밋된거 같은데;; 1. 일단 아톰에서 local repository를 만든다. 만들면 아래 오른쪽 처럼 staged 상태창에서 깃허브에 올릴걸 설정한다. 2. 올릴거 정하고 커밋하면 로컬저장소에 있는게 커밋됨 3. cmd 키고 프로젝트 경로로 간다.(난 vuejs) 4. 깃헙에서 레퍼지토리를 하나 만든다.(이름은 Vue_Toy_Atom 으로 만들었음) 5. 아래처럼 명령어 치면 된다. 6. 확인하면 잘 올라가 있다. 맨날 이클립스나 인텔리제이, 소스트리 같은 GUI 툴을 사용해서 업로드 했는데 이번엔 첨으로 bash를 써봤다. 꽤나 간편한뎅...?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cLsU0/btqAQMZ7sqE/sXca7Q7HkEzxMIyxAp0O61/img.png)
1. RDS 생성하기(여긴 mysql이지만 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다.) https://ndb796.tistory.com/226 AWS EC2에 AWS RDS 연동하기 이번 시간에는 AWS EC2에 AWS RDS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에 운영하는 AWS EC2 서비스가 있을 때 이에 안전한 방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ndb796.tistory.com 2. 1번으로 만들게 되면 SQL Developer에서 접근을 못한다.(ec2에서만 접근 가능하게 했기 때문) 그러므로 보안 풀어준다. https://smujihoon.tistory.com/86 AWS RDS 외부에서 접속하기 AWS의 데이터베이스인 RDS의 접근 방식에는 2가지 방법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