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패턴 (2)
송민준의 개발노트
예전에 Builder 패턴을 처음 들었을 때 lombok에 Builder를 사용하는 건줄 알았다.(무지했다... 지금도 무지하지만...) Builder 패턴은 말 그대로 우선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을 만들고 단계를 밟아 만들어 나가는 것을 말한다. 텍스트 및 HTML 문서를 만드는 Builder를 예로 들겠다. 1. Builder 클래스 추상클래스로서 실제의 처리는 기술하지 않고, 추상 메소드만 선언되어 있다. 구체적인 처리는 하위 클래스에 맡긴다. /** * 문서를 구성하기 위한 메소드를 결정하는 추상 클래스 */ public abstract class Builder { public abstract void makeTitle(String title); public abstract void mak..
공부할 때나 실무에서나 개발을 하다보면 정신없게 늘어만 가는 DTO를 보고 어떻게 줄일 수 없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너무 많아져 IDE의 도움 없이는 찾지도 못할 수준이 되는 프로젝트도 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DTO에 관한 부분을 고민하고 개선해보기로 했다. 우선 내가 생각하기에 충족되어야 할 조건들은... 아래와 같았다. 1. 패키지 구조에서 보다 간단하게 2. API에 필요한 데이터들만 뽑아낼 DTO 3. Swagger에 명시가 가능하게 4. 필요에 따라 페이징도 적용 가능하게 이것저것 찾아보고 고민해본 결과 inner class 패턴이 보기에 좋고 관리하기도 좋아보였다. Account(계정)을 예로 남겨보겠다. swagger 및 valid 관련 코드는 가독성을 위해 제거했으니 필요하다면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