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EC2 (4)
송민준의 개발노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AFt8/btrVK1hAfFa/l2iDevOGEZUXrYWDTAb50K/img.png)
개발 및 인프라 환경 1. AWS (EC2(ubuntu), RDS(Mysql), S3, CodeDeploy) 2. Github (Action) 3. Spring Boot(2.5) 1. IAM 생성 - 역할생성 1) EC2 역할( 이름은 적당하게 EC2-IAM... ) 2) CODE_DEPLOY 역할 - 사용자 추가 - 생성 후 뜨는 Access key, Secret Key 백업! 2. EC2 생성 - 프리티어 사양으로 Ubuntu 22 LTS 기본옵션으로 생성 - 인스턴스 태그추가(Codedeploy에서 연결하기 위한 키) - 보안그룹에서 인바운드규칙 추가 (사용할 포트, db 포트, 접근 IP 구성) - Elastic IP 발행 - Elastic IP 인스턴스에 연결 - 키값으로 putty 연결 해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ZKm2A/btqQgzy51Ib/4bllERIuLa1aK2CqZHZhc1/img.png)
AWS 쓰면 주로 ec2, rdb, route53, s3 정도만 토이프로젝트로 쓰다가 이번에 Lambda에 대해서 공부를 하고자 한다. 1. Lambda란 무엇인가? AWS에서 제공하는 Faas 서비스이다. Lambda는 이벤트를 감지해서 아마존 리눅스 환경의 Micro VM을 띄우고 함수를 실행한다. 그리고 DB 연동, 메시지 등 결과를 처리한다. Lambda의 실행순서는 내가 작성한 코드를 다운하고 실행환경(환경변수, 언어 등)을 셋팅, 런타임 준비, 마지막으로 함수 실행을 한다. 이러한 실행과정에는 Cold Start가 발생하면서 딜레이가 생긴다. 최초 실행 시 이 Cold Start가 생기며 Micro VM이 유지되는 기간에는 딜레이를 줄일 수 있다. 언어와 메모리 사이즈에 속도의 영향을 받는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MHrc/btqC3NXSgHg/tdSgnOrm3Bs6MWcBb8cfvK/img.png)
1. 디비 생성 2. 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릭 후 생성 중 끝날 때까지 기다리면 됨. 3. 파라미터 그룹 클릭 후 파라미터 생성 4. 파라미터 편집 클릭 5. 파라미터 각각 검색해서 설정 타임존 설정 - 아시아 서울 설정 utf8mb4 설정 utf8과 utf8mb4의 차이는 이모지 저장 가능 여부이다.(이모지는 이모티콘 같은거다) 6. 편집 저장 7. 파라미터 적용을 위해 수정 클릭 8. 파라미터 그룹 설정 9. 즉시 적용을 한다. (실 사용이면 예약된 새벽 시간대에 하는게 좋음) 10. 확실한 적용을 위해 재부팅 11. 보안 그룹 클릭 편집해서 mysql/aurora 클릭해서 각각 보안그룹과 내 IP를 추가 12. 인텔리제이로 가서 db연결 13. 각각 값 입력 Name은 맘대로, Host는 AWS RD..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96MZ/btqAuxpLxAS/KXUpm961IfAgxS8G19ZYlk/img.png)
-------사전 AWS 회원가입 및 EC2 인스턴스 생성 ----------------- 1. 회원가입 2. EC2 인스턴스 생성(EC2를 사용하여... 클릭) 3. 템플릿 선택(ubuntu Server 18.04 LTS) 4. 무료인 프리티어 선택! 후 검토 및 시작 클릭 다른 세팅은 기본으로 가고 스토리지 추가에서 크기를 30GB로 설정 5. 보안그룹 구성도 다음과 같이 구성 6. 키 페어 다운로드( 키페어 이름 설정 후 C드라이브에 키파일과 이름이 같은 폴더 만들어 준 후 거기다가 다운 후 옮김) 7. 인스턴스를 시작하여 상태가 running인지 확인 8. IP 주소 할당(탄력적 IP에 들어가서 IP주소 할당 받음) 9. 할당 받은 후 작업 - 연결 클릭 10. 주소 연결에 만들었던 인스턴스를 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