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boot (4)
송민준의 개발노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pmJnH/btrat12j8Ex/g8hh00v3OBZwrF0n2DXjm1/img.png)
본 글은 우아한Tech 유튜브 채널을 본 것을 기반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h9qmKWK6Io 스프링과 스프링부트의 차이점은 뭘까? 우선 영상을 보기 전에 스프링과 스프링부트의 차이점을 뭘까를 생각해봤는데 크게 떠오르지 않았다... 음 뭐... 디펜던시를 자동으로 관리해주고... 기타 환경설정을 좀 더 편하게 도와주는 느낌...? 역시 제대로 모르고 있다... 스프링부트 공식 레퍼런스를 보자. 뭐 간단하게 말해서 boot를 사용하면 최소한의 구성으로 쉽게(makes it easy) 실행 가능한 단독(stand-alone) 스프링 기반 상용화 수준(production-grade)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 1. 기존의 레거시 스프링은 모든 dep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zYBE/btqLJV6In4A/ADYP2Rt5MK8B5bfnmpuk80/img.png)
1. pom.xml에 dependency 추가 com.h2database h2 runtime ---------*************----------------- 혹시나 security를 사용한다면 권한 설정을 해줘야하고 관리자만 적용할 수도 있겠지만 일단 누구든지 접근 가능하게 세팅해보겠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SecurityConfig extends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 @Override protected void configure(HttpSecurity http) throws Exception { http.authorizeRequests().antMatchers("/h2-console/**").permitAll(); http.csrf..
기존에 스프링 프로젝트에서는 properties 파일을 사용해서 설정과 관련된 내용을 저장해서 불러왔다. 스프링부트를 사용하게 되면서 yaml 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타 포맷에 비해 사람이 보기가 편한 장점이 있다. 이는 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되기도 한다. yaml의 경우 들여쓰기로 구분하고 리스트로 표현하고자 할 때는 - "대쉬" 로 표현이 가능하다. yaml 은 문법에 있어서 약간 엄격한 편인데 이 때문에 삽질을 좀 했었다. 가령아래와 같이 설정을 하는 경우가 있다면 mytest가 spring 하위로 들어가서 인식이 안된다던지.... 콜론(:) 다음에는 공백 한칸이 있어야 한다던지 그런 문제점들이 있다.(삽질로 깨달음) spring jpa: hibernate: ddl-auto: update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