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function (2)
송민준의 개발노트
DB에 대한 포스팅은 기본적으로 oracle을 기준으로 대부분 하니 참고... 기본적으로 내장형 함수는 각 DBMS별로 차이가 있지만 거의 비슷한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종류로는 형변환 함수, 문자열 및 숫자형 함수, 날짜형 함수가 있다. 형변환 함수는 명시적과 암시적 형변환이 있는데 암시적인 것은 DBMS가 알아서 처리해주는 것이고 명시적은 사용자가 직접 선언해주는 것이다. // 형변환 TO_NUMBER(문자열) :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TO_CHAR(숫자 or 날짜, [FORMAT]) : 숫자 혹은 날짜를 지정된 FORMAT의 문자로 변환한다. TO_DATE(문자열, FORMAT) : 문자열을 지정된 FORMAT의 날짜형으로 변환한다. 형변환에 대한 보다 자세한 포스팅은 아래 글에 해놨다. htt..
팀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각자 기능 구현을 하고 보면 함수의 이름이 같은 경우가 있다. 나도 팀프로젝트를 하다보면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함수를 생성한다. var init = function() { .. } var save = function() { .. } 이렇게 사용하다보면 함수가 겹치는 경우가 생겨서 먹통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유는 브라우저의 스코프는 공용공간으로 쓰이기 때문에 나중에 로딩된 같은 이름의 함수가 먼저 로딩된 함수를 덮어쓰게 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고자 아래와 같이 js의 유효범위를 만들어 사용한다. test라는 객체를 만들어 해당 객체에서 필요한 모든 function을 선언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겹칠 위험이 사라진다. var test ={ init : function() { va..